[복지행정론] 사회 정책의 디자인: allocation, provision, financing
사회복지정책의 분석 틀
- 과정분석: 정책 형성에 관한 사회적, 정치적, 기술적 과정
- 성과분석: 실제 자료를 중점으로 시행중인 프로그램 평가
- 산물분석: 계획과정을 거쳐 결정된 일련의 정책선택에 중점
- 중요한 건 정책의 원인과 결과가 아니라 정책 설계의 중요 구성요소들을 구분하고 분해하는 데에 있음
산물분석적 관점에서 정책설계의 기본적 구성요소: 선택의 차원들
1. 사회적 할당의 기반/근거: 누가 받을지
2. 사회적 급여의 형태?
3. 사회적 급여 전달하기 위한 전략?
4. 사회적 급여에 필요한 재정 마련을 위한 방법?
위의 4가지 선택의 차원들을 이해하기 위해선 각 선택차원에 존재하는 기본적 대안을 알아야 함
할당과 급여
누가 수혜자가 될 것인지, 정책입안자와 사회적 환경, 대중들간 상호조율과 타협으로 결정
수급자격을 결정하는 기준의 토대가 되는 원칙: 보편 vs 선별
사회적 급여의 성격에 대한 정책선택은 사람들이 받기로 한 급여가 어떤 것인가: 현금 vs 현물 vs 그외
할당(allocation)의 원칙
보편주의 vs 선별주의
보편주의 | 선별주의 |
사회적 권리로서 모든 사람에게 주어져야 함 사회정책은 사회구성원 모두가 당면하는 문제에 대한 사회전체의 대응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적 통합 유지하여 사회적 효과성 높임 |
급여는 개인의 욕구에 기초하여 주어져야 함. 개인욕구는 소득조사로 판별 경제적 효율성 극대화 사회적 효율성 (국가 시스템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작동하고 있는가, 그 구성원들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자신들이 가진 자원을 활용하고 성과를 낼 수 있는가) |
보편주의자가 보는 선별주의: 낙인효과, 소득 조사를 통한 비생산적 비용
선별주의자가 보는 보편주의: 막대한 비용, 경제적 효율성의 불가피성, 사회적 효율성떨어짐
결론: 보편주의와 선별주의를 혼용한 정책방법
보편주의하의 표적할당: 보편주의적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틀 안에서 보다 불우한 사람들이 낙인없이 급여 받음
할당의 세부원칙
이분법을 넘어선 보다 세부적인 할당원칙
1. 귀속적 욕구
- 현재 속한 집단이 현재의 사회적 경제적 제도 하에서 충족되지 않는 욕구를 가진 사람들의 집단인가
- 자산조사 없이 특정 집단에 속하는지(집단지향적 할당) 여부, 미충족 욕구(욕구의 규범적 기준)가 있다고 전제되면 수급자격 결정
- 제도적 개념. 보편주의적
2. 보상
- 사회에 기여를 한 사람이나 피해입은 사람들에게 수급자격 부여
- 자산조사 없이 특정 집단에 속하는지(집단지향적할당) 확인 후 대상자 선정에 있어 형평성 추구(형평을 위한 규범적 기준) 중요시
3. 진단적 차등
- 전문가가 특별한 재화나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 개인적 할당와 욕구의 기술적 진단(전문가의 진단)
4. 자산조사 욕구
- 자산조사 통해 선별한 개인을 대상으로 수급자격 부여
- 개인적 할당과 욕구의 경제적 기준
- 선별주의에 가장 근접
- 잔여적 개념
수용성의 문제
- 복지급여의 전달만 생각하고 수급자의 수용상태를 고려하지 않으면 왜곡 발생가능
- 받을 자격 있고 받을 의사 있으나 접근하기 어려운 상태인 경우 >> 침투적 서비스 전달구조 모색 필요
- 받을 자격있고 받을 의사 있으나 받을 능력, 준비가 안됨(서류 등)
- 받을 자격 있으나 받을 의사 없음 >> 개별 수급자의 상황과 문화 고려
보편적 복지에 대한 추가적 논의
1883년 독일 비스마르크: 사회보험방식의 노동자대상 복지제도
1914년 스웨덴: 전체 시민 대상의 연금방식
1942년 영국 베버리지 보고서: 보편적 복지 확립. 최소한의 급여 제공, 사회보험체계, 아동수당
급여(provision)
무엇을 제공할지
선택의 자유: 급여에 있어 수급자가 자신의 개인적 선호 반영할 수 있도록 허용
사회적 통제: 개인적 선택 제거
현물급여 vs 현금급여
1. 현물
- 욕구 충족할 물건, 서비스 직접 제공
- 장점: 수급자의 소비패턴 통제하여 합리적 선택 유도, 정보없는 소비자 보호, 사회전체 공공선 증진, 비용적음, 규모의경제효과
2. 현금
- 수급자가 시장 나가서 사라
- 소비자 측면에서 선택의 폭 가장 넓음
- 장점: 수급자들의 선택의 자유 존중해야함, 시장 활성화
현물, 현금에서 벗어나 더 세분화 가능
3. 기회
- 시민권 또는 특별한 기회 제공 등
- 당장 어떤 이전가치를 가지지는 않음
4. 서비스
- 교육, 상담, 치료 등 제공
- 소비자 선택의 폭이 좁고 표준화가 어려우며 서비스 제공자의 전문성이 중요
5. 상품
- 전형적 현물급여 형태
- 소비자선택과 시장가치 낮음
6. 신용
- 세금공제나 상품에 대한 바우처 형태
- 해당목적을 벗어나서 사용할 수는 없지만 상품, 서비스보다는 선택의 자유 큼
- 사회통제의 기능 + 소비자주권 보장
- 물론 인프라 구축과 효과적 감독체제가 기본적으로 보장되어야함
7. 권력
- 상품/자원의 통제에 대한 영향력 재분배
- 사회적 약자에게 정책참여 기회 제공
전달과 재정
'누구에게 무엇을'이 결정되었다면 이젠 이를 전달하기 위한 조치 필요
전달전략: 사회복지 서비스의 공급자와 소비자간 형성되는 여러 대안적 서비스 전달구조
재정: 서비스 제공하는데 필요한 재정 마련
'학교수업 > 복지행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행정론] East Asia의 Welfare regime (0) | 2022.12.13 |
---|---|
[복지행정론] 복지자본주의(welfare capitalism)의 3가지 세계: 서양 중심 (0) | 2022.12.13 |
[복지행정론] 복지국가의 발전 (0) | 2022.10.25 |
[복지행정론] Welfare mix란? (0) | 2022.10.24 |
[복지행정론] 각 학자별 복지국가의 정의, 케인즈주의적 자본주의 관리의 역사와 뉴딜정책, 빈곤, 평등 (0) | 2022.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