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71)
스마트시티론 5월 4일 기말고사 문제 용적률 인센티브란 무엇인가? 용적률: 대지내 건축 밀도를 나타내는 용어 용적률이 크면 연면적이 많아서 건출 밀도가 높음을 뜻한다 구체적으로 용적률이 크다는 것을 건물을 상대적으로 높이 지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건물 층수가 많다는 것을 의미 용적률 인센티브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용적률을 추가로 높여주는 것 예를 들어 사업용지가 지구단위계획구역에 속해 있을 때 사업시행자가 사업용지의 일부를 공원, 녹지, 도로와 같은 공공용지로 제공할 경우 용적률을 허가 기준보다 높여주는 것이 이에 속한다. 신축 건물의 경우 에너지효율1등급, 녹색건축인증 최우수 등급을 받으면 최대 15%의 용적률을 더 받는다 교과서342p 덴마크 doll
데이터 프레임 데이터 프레임 데이터를 다룰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 형태 행과 열로 구성된 사각형 모양의 표 열(컬럼, 변수(variable)) 속성 행(row, case) 각 사람의 정보 데이터가 크다 = 행 또는 열이 많다 데이터 프레임 만들기 ##pandas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로 가공할 때 사용 import pandas as pd df = pd.DataFrame({'name':['김지훈', '이유진', '박동현', '김민지'], 'english':[90,70,60,40], 'math':[50,40,30,90]}) df
JAVA | 백준 10870 | 피보나치 수 JAVA | 백준 10870 | 피보나치 수 1. Scanner 이용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fibonacci(int N){ if(N==0) return 0; if(N==1) return 1; return fibonacci(N-1)+fibonacci(N-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System.out.println(fibonacci(N)); } } 2. Buffer 이용 import java.io.*;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fibona..
[JAVA] BufferedReader, BufferedWriter 란 무엇인가 BufferedReader, BufferedWriter 란 무엇인가? BufferedReader, BufferedWriter란, 이름 그대로 Buffer(버퍼)를 이용하는 함수이다. Scanner 대신에 사용한다. Scanner은 스페이스와 엔터를 경계로 입력값을 인식하지만, BufferedReader은 엔터만 경계로 인식한다. 또한 받은 데이터를 String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데이터 후처리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Scanner보다 빠르므로 사용한다. 버퍼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입력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버퍼를 사용해서 입력을 모았다가 한번에 출력하면, 더 효율적이고 속도가 빠르다. 각 함수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된다. BufferedReader() : 버퍼를 이용한 입력 ..
JAVA | 백준 10872 | 팩토리얼 1. Scanner 이용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sc.close(); int sum = factorial(N); System.out.println(sum); } public static int factorial(int N){ if(N
LGI 자바스크립트 D1 | 1장 크롬 브라우저는 V8엔진 F12로 콘솔 열기 console.log("hello javascript") 브라우저 콘솔 인터프리터 방식(코드를 한 덩어리씩 출력) shift+enter로 여러 코드 동시 입력 가능 REPL: 코드 한줄씩 입력받고(READ), 평가하고(EVALUATE), 결과출력하고(PRINT), 새로운 입력을 기다림(LOOP) 순서도 그리기
9. 조직의 동기부여 동기부여의 의의 동기부여란?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하도록 원인을 제공하는 것 조직의 목표 달성 위해 구성원들이 노력하도록 유도하는 것 내용이론(4) 동기의 구성요소 또는 내용에 초점을 두는 내용이론 개인의 에너지를 일정한 방향으로 조정하고 유지시키 며 행동을 작동시키는 내적 요인에 관심 1. Maslow의 욕구단계이론 욕구5단계설 ① 생리적 욕구 : 생존을 위한 의식주에 관련된 욕구와 그 밖의 신체적 욕구 ② 안전 욕구 : 타인의 위협, 재해 위험과 사고 등으로부터 안전과 보호받고자 하는 욕구 ③ 사회적 욕구 : 동료와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 사회적 소속에 대한 욕구 ④ 존경 욕구 : 타인으로부터의 존경과 자아 존중에 대한 욕구 ⑤ 자아실현 욕구 : 자기 능력 발휘와 성취를 통한 자아..
주식의 종류 보통주와 우선주 주주는 자신이 보유한 주식수만큼 기업의 주요 사안을 결정할 수 있음 (의결권) 보통주: 의결권이 있는 주식 우선주: 의결권이 없는 주식 우량주 다른 기업보다 시가총액이 상대적으로 크고, 수익성과 성장성이 높은 기업 중 실적, 재무적 안정성을 확보한 회사 공모주와 국민주 공모주: 주식회사가 자금조달을 위해 주주를 공개모집 국민주: (주로) 공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면서 국민들에게 주식을 분산하는것. 중하위권 소득계층에 우선보급 가치주와 성장주 가치주 실적에 비해 기업가치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돼서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주식 성장이 더뎌 수익은 낮지만 안정적 전기, 가스, 음식료 등 성장주 현재가치는 낮지만 미래 수익이 클 것으로 예상되어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주식 메타버스 등 경기방어주와 경기..

반응형